타고난 姿態(자태)가 씩씩하시고 지혜와 용맹이 뛰어나셨다 道康縣監(도강현감)이었던 金光俊(김광준)의 문하에서 수업하여 文藝(문예)를 크게 깨우치시다 7세 때에 花園(화원)을 두고 시를 지었는데 ‘꽃동산에서 노래하는 저 벌은 우리 임금님의 기상이요 꽃이 좋아 춤을 추는 이 나비는 임금님의 뜻이로세’라고 하셨다 평소에 어버이를 지극한 효성으로 섬기든차 1582년(壬午 23세)에 부친의 상을 당하여 廬墓(여묘)를 3년이나 지키고 살았다 효행이 조정에 알려져서 가선대부중추부사에 제수되시었다 당시의 여러 어진이들과 道義(도의)를 講磨(강마)하시었다 1592년 임진란때 두 동생과 아들을 불러 나라의 위급을 구하는 길은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우는 길 뿐이라고 역설하시고 각 고을에 檄文(격문)을 보내 의병 3백여 명을 일으켰다 곧바로 戰列(전열)을 편성하시고 장대에 旗毛(기모)를 달고 두꺼운 종이로 투구를 만들었다 강진구십포에서 賊兵(적병)을 무수히 쳐부수었으며 水淨寺(수정사) 앞 들판 전투에서 크게 적을 무찌르고 무기를 다량 노획 큰 공을 세우셨다 강진 등지의 바닷가 여러 고을 주민들이 公의 深遠(심원)한 전략에 의하여 오랜 戰禍(전화)를 입지 않고 무사하였다 충무공이순신장군은 그 공을 장하게 여기시어 1597년4월 의병장으로 등용하시었다 장흥군회령진의 큰싸움에서 대승하니 廉三虎軍(염삼호군)의 출전한 곳에서는 왜적이 戰意(전의)를 상실하였다 남해몰운대 전투에서 왜적을 섬멸하고 포로 중 馬希雍(마희옹)을 잡아 죽이고 마다치를 사로잡아서 幕下(막하)에 끌고가니 ‘내 아들(이순신장군의 셋째 아들 葂(면)이 왜적과 싸우다 전사)을 죽인 원수인데 이제 자식의 원수를 갚고 우리들의 羞恥(수치)를 통쾌하게 씻어준 사람은 바로 廉傑將軍(염걸장군)이시다.’라고 극찬하셨다 한다 그 후 충무공이순신장군과 직접 전략을 熟意(숙의)하였다 한다 왜교-광양만신성포의 싸움에서 明軍(명군)의 소극적인 참전으로 苦戰(고전)을 면치 못한 아군의 전세를 공의 용맹과 智略(지략)으로 성을 함락하였다 전후의 빛난 대공으로 莊烈公(장열공)권율장군에게 보고하니 조정에 아뢰어 수문장의 벼슬에 임명되었다 武運(무운)이 다하여 거제도의 싸움에서 1598년戊戌 殉節(순절)하시니 향년54세 이었다 1598년11월에 衣襨(의대)로써 招魂(초혼)하여 葬事(장사)를 지냈다 1605년乙巳4월16일 선무원종2등공신에 錄勳(녹훈)되시어 鐵卷(철권)을 하사받으셨다 儒臣(유신)들이 글을 올려 1709년己丑8월에 자헌대부병조판서에 贈職(증직)되었으며 褒忠(포충)이란 旌閭(정려)를 세우도록 임금님의 명이 내리셨다 史蹟(사적)이 古今島戰勝碑 金陵誌 湖南節義錄 三綱錄 仕宦錄(고금도전승비 금릉지 호남절의록 삼강록 사환록) 등에 기록되어 있으며 1950년11월에 退隱堂公實記(퇴은당공실기)가 간행되었고 1955년乙未7월에 褒忠旌閭(포충정려)가 건립되고 1963년癸卯2월27일 四忠閣(사충각)이 준공되었다 1970년庚戌3월에 柳川祠(유천사)가 건립되고 1971년辛亥4월15일 退隱堂公(퇴은당공)을 主壁(주벽)하여 貞軒公 節齋公 剛齋公(정헌공 절재공 강재공)이 配享(배향)되었다 1976년丙辰5월4일 전남일보사가 발간한 의병열전에 연재되고 1978년戊午9월22일 四忠臣(사충신)의 墓域(묘역)이 전라남도 지방문화재 제36호로 지정되어 기념되었다 1980년庚午8월30일 강진군 칠량국민학교에 民族中興館(민족중흥관)이 設堂(설당)되어 이충무공을 主壁(주벽)하여 退隱堂廉傑將軍(퇴은당염걸장군)과 金億秋將軍(김억추장군)의 影幀(영정)이 配侑(배유)되어 드높은 忠魂(충혼)을 추모하고 있다 1981년辛酉10월27일 강진군 칠량면 단월리 四忠墓域下(사충묘역하)에 退隱堂公 神道碑(퇴은당공 신도비)가 세워졌으며 당시倡義地(창의지)인 율변촌앞 큰 노송아래에 四忠殉義碑(사충순의비)가 우뚝서있다. 또 옛 생가터전에 追慕齋室(추모재실)이 건립되었다 1983년癸亥4월28일 화순군 이양면 오류리 柳川祠(유천사)에 廟庭碑(묘정비)가 세워졌다 1985년乙丑3월 화순군庾珉鳳郡守(유민봉군수)의 특별지원과 후손의 헌성금으로 사충각과 유천사 崇慕門(숭모문) 사충문을 보수하고 忠義堂(충의당)과 관리사를 개축하고 外三門(외삼문)을 신축하였다